쌀쌀하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 요즘,
환절기 불청객이 찾아왔습니다.
바로 대표적인 환경성 질환 중 하나인 알레르기 비염입니다.
우리를 불편하게 하는 알레르기 비염은 왜 발생하는 걸까요?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 원인 물질에 노출된 뒤
코 안에 발생하는 염증 질환으로, 춥고 건조한 날씨로
호흡기가 예민해진 환절기에 자주 발생합니다.
알레르기 체질 같은 유전 요인과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반려동물의 비듬과 털 같은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발생합니다.
알레르기 비염은 코감기와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습니다.
코감기 증상으론 누런 콧물과
기침, 가래, 발열/오한의 몸살이 있지만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의 네 가지 주요 증상이 나타납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20년간(1998~2019)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1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년간 알레르기 비염환자가
급증했던 주요 원인은 바로 대기오염입니다.
미세먼지화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는
알레르기 비염을 직접접으로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알레르기 비염의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병원을 내원해 알레르기 항원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알레르기 비염 예방. 관리 수칙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알레르기 비염 예방.관리 수칙
1. 실내는 청결하게 유지하고,
대기오염이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마스크 착용하기
2. 비염의 원인 및 악화 요인을 검사로 확인한 후 회피하기
3. 금연하고, 간접흡연도 최대한 피하기
4. 감기 예방을 위해 손을 잘 씻기
5. 효과과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히 치료하기
출처-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국립공원공단, 동아사이언스, 질병관리청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대 분리배출 이끈 '밸런스게임'...누구 아이디어? (114) | 2023.11.06 |
---|---|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 하루동안 아무것도 사지 않는다고? (82) | 2023.11.05 |
미세먼지, 가을에도 조심하세요! (102) | 2023.11.03 |
새끼 코끼리물범 덮친 '이것'…전례없는 떼죽음 (106) | 2023.11.02 |
“지리산에서 골프 치려고 이렇게까지?” 다신 보고 싶지 않은 이 사진 [지구, 뭐래?] (116)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