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이
1950년에는 150만 톤에서 2019년에는 약 4.6억 톤으로 늘어났고
2060년에는 약 12.3억 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미세플라스틱이란?
의도적으로 제조 되었거나 또는 기존 제품이 잘게 조각나서 미세화된 크기인 5mm 이하의 합성 고분자화합물입니다.
주로 환경오염과 인간 건강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차 미세플라스틱]
세안제나 치약의 스크럽제 등 의도적으로 제조 당시부터 5mm 이하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2차 미세플라스틱]
페트병, 빨대 등이 버려저 인위적이거나 자연 풍화에 의해 마모 되거나 쪼개져 작게 만들어진 플라스틱 파편
미세플라스틱, 얼마나 위험할까?
1. 환경 오염
미세플라스틱은 바다, 강, 호수 등 다양한 수조에서 발견되며, 토양, 공기 등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염은 해양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식물 및 동물에 흡수되어 먹이 사슬을 통해 인간에게 도달할 수도 있습니다.
2. 생물의 건강 위험
미세플라스틱은 작은 크기로 인해 생물에게 쉽게 흡수될 수 있습니다.
해양 생물체는 수면으로부터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으며, 이는 소화기관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식욕 저하, 영양 흡수 저하, 생식 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인간 건강 영향
우리에게 돌아와 몸속으로 들어가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1주일 평균 약 2000개 정도입니다.
이를 무게로 바꾸었을 때 약 5g 정도로 우리는 매주 신용카드 한 장 또는 볼펜 한 자루를 먹고 있는 셈입니다.
미세플라스틱이 체내로 들어올 경우 소화기관을 통과하지 못하고 체내에 머무를 수 있습니다.
조직 염증, 면역세포 저하, 간질성 폐 질환, 폐 기능 저하, 호흡곤란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우리 몸에 악영향을 미치고 내분비계 장애와 호르몬 균형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 종류의 암과 관련될 수도 있습니다.
4. 환경 문제 확대
미세플라스틱은 장기적인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은 수십 년 동안 자연환경에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경오염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자!!
1. 플라스틱 올바르게 배출하기
플라스틱을 가능한 한 재활용하고 재활용 지침을 따르세요.
안의 내용물을 완전히 비우고 깨끗하게 씻어서 재활용 쓰레기로 버려주세요.
이렇게 함으로써 플라스틱이 환경에 더 이상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플라스틱 용기 대신 다회용 용기 사용하기
다회용 용기는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를 구매하고 폐기하는 것보다
플라스틱 소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자연환경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고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일회용 컵 대신 다회용 컵 혹은 텀블러 사용하기
일회용 플라스틱 물병 대신 재사용 가능한 스테인리스 스틸 물병이나 유리 물병을 사용하세요.
이를 통해 일회용 플라스틱 물병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물티슈 대신 행주 사용하기
한 번 쓰고 버리는 물티슈 대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행주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5. 대체 가능한 천연소재 사용하기
식품을 조리하거나 보관할 때 플라스틱 용기 대신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대나무 등의 대체재를 사용하세요.
플라스틱 대체재인 생분해성 제품을 구매하거나 플라스틱 사용을 최소화하는 제품을 선택하세요.
예를 들어,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품이나 종이, 나일론 등의 대체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플라스틱 재활용 및 대체 재료의 사용을 증가시키는 등의 개인 및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적극적인 규제와 국제적인 협력도 필요합니다.
간단하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지만 귀찮고 번거롭다는 이유로 우리가 실천하지 않고 있습니다.
나 하나쯤 어때?라는 생각을 버리고 나라도 하자!!라는 생각으로 꼭 실천해 주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기한 지난 음식 먹어도 될까? 소비기한과 유통기한 (45) | 2023.06.26 |
---|---|
우리의 넓은 바다는 과연 누가 청소할까요? (43) | 2023.06.23 |
이미 탄소중립을 달성한 대표적인 8개국 (46) | 2023.06.20 |
3월 22일 세계 물의 날. 생존을 위한 물! 지킬 수 있어. (51) | 2023.06.19 |
오존의 두 얼굴, 여름 고농도 오전에 대비하세요! (35) | 202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