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를 스스로 고쳐 쓸 수 있는
‘수리할 권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애플은 여전히 한국 시장에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내놓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국내에서
소비자가 스스로 휴대폰을 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3일
애플은 유럽 24개국에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2021년 말께 미국에서 처음 시작된 이후
애플은 총 33개 국가에서 24개 언어로 대상을 늘려왔다.
삼성전자 역시 지난해 12월 20일 유럽 30개국에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추가 도입했다.
미국(2022년 8월)을 시작으로 한국(2023년 5월) 등 42개국에서 시행 중이다.
자가 수리 프로그램은
휴대폰 제조사에서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부품과 도구 등을 판매하는 걸 일컫는다.
기존에도 암암리에 사제로 교체를 할 수 있었지만
정식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 이상이 생기더라도 소비자에 책임을 지웠다.
소비자가 스스로 수리를 할 경우
가장 큰 이점은 가격을 수십 만원씩 아낄 수 있다는 점이다.
아이폰15프로맥스의 경우 공인 수리 비용은 55만9000원이다.
반면 자가 수리 키트 가격은 한화 6만3000원(49달러) 로 50만원 차이가 난다.
특히 애플의 경우 지난해 3월 한국에서 수리 비용 43% 인상한 바 있다.
미국과 영국(29%), 일본(31%)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휴대폰 교체 시기를 늘리면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유럽환경국의 연구에 따르면
유럽의 모든 스마트폰을 1년 씩만 더 사용하면
2030년까지 해마다 210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연간 100만대 이상의 자동차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에 맞먹는다.
휴대폰을 비롯한 전자제품의 수명을 늘리려면
원하는 소비자는 스스로 수리를 할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는 게 최근 국제 사회의 흐름이다.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는
이미 소비자가 전자제품을 수리할 권리가 법률로 정해졌다.
특히 프랑스는 수리 매뉴얼과 난이도,
부품 공급과 가격 등의 세부 사항에 따라
1~10점까지 점수를 매기는
‘전자제품 수리 가능성 지수’를 도입하는 등 전자제품 수리를 장려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수리권을 보장하는
순환경제사회전환촉진법이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 법안은 보증 기간 내 부품을 확보하고
배송하는 정도에 그쳐, 해외 대비 자가 수리권을
충분히 보장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환경단체들은
▷기업이 수리가 쉽도록 제품을 설계하고 생산하도록 의무화
▷소비자가 수리 방식 및 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권리 보장
▷소비자가 제품을 쉽게 수리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의무화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단순히 정식 부품을 받는 정도로는
비전문가인 소비자들이 수리하기 쉽지 않아서다.
녹색연합이 지난해 10월 1~10일 106가구를 대상으로
‘전기·전자제품 수리에 어려움을 느끼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1%는 ‘어려움을 많이 느낀다’, 41%는 ‘때때로 느낀다’고 답했다.
이외에 정해진 기간, 업체에서 수리를 해야 한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했다.
서울환경연합이 지난해 10월 16~18일
‘기업의 수리 서비스 독점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00명 중 27.2%가
‘보증 기간 이후 수리 서비스 이용 불가’를 지목했다.
4.2%는 ‘사설 업체 이용 후 공식 서비스 센터 이용 제한’이라고 답했다.
스스로 수리할 경우에는
‘수리를 위한 설명과 설계도를 제공하지 않는다’(5.5%),
‘수리가 어렵게 설계됐다’(4.6%)는 점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가장 큰 문제는 ‘제품 가격보다 높은 수리 비용’(48.4%)으로 가격이었다.
허혜윤 서울환경연합 자원순환팀 활동가는
“자가 수리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소비자들이 수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 구체적인 법령이 제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50만원 아낄 수 있는데” 해외는 다하면서…아이폰 ‘자가 수리’ 한국만 외면 [지구, 뭐래?]
전자기기를 스스로 고쳐 쓸 수 있는 ‘수리할 권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애플은 여전히 한국 시장에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내놓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국내에서 소
biz.heraldcorp.com
출처-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빨래 못하겠어요” 대신 해주는데 심지어 ‘공짜’…일회용 쓰레기까지 줄인 ‘이 도시’ [지구, 뭐래?] (46) | 2024.01.25 |
---|---|
중국인줄 알았다…“이 사진 서울 맞나?” 한 겨울 미세먼지 폭탄, 독해졌다 [지구, 뭐래?] (38) | 2024.01.17 |
컵라면 쓰레기는 왜 책임 안 져?…팔 때는 신나게 팔더니 재활용은 절반만 [지구, 뭐래?] (34) | 2024.01.08 |
'병주고 돈벌고'...화장품 기업들의 새해 '빈 병 회수 전략' (29) | 2024.01.07 |
"숨쉬듯 동물학대 습득" 화천산천어축제 변화 필요한 이유는... (35) | 2024.01.03 |